Skip to main content

November 2025

Louise Bourgeois, Subject of Solo Exhibition Louise Bourgeois: The Evanescent and the Eternal at the Hoam Museum of Art

Artist: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Dates: August 30, 2025 – January 4, 2026
Venue: 용인 호암미술관 Hoam Museum of Art, Yongin, Korea
Website: https://www.leeumhoam.org/hoam
The Evanescent and the Eternal, a solo exhibition of Louise Bourgeois (1911–2010), is currently on view at the Hoam Museum of Art in Yongin, Korea. Marking the artist’s first exhibition in Korea in 25 years and the largest museum retrospective ever organized in the country, the show presents 106 works—spanning painting, sculpture, and installation—of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rtists of the 20th century.

The title of the exhibition is borrowed from Bourgeois’s own writings, reflecting her lifelong exploration of memory, the body, and time. Themes of love, fear, abandonment, and the tensions and conflicts within the family—along with the inner fractures born of trauma—permeate her entire body of work. The exhibition captures and mirrors this psychological terrain. Moreover, through the dual concept of “the evanescent and the eternal,” the exhibition captures identities and emotions that waver continually along the boundaries between male and female, past and present, the unconscious and reality.

The exhibition brings together a large body of works, including Bourgeois’s early paintings from the 1940s and the Personages series; the groundbreaking installation The Destruction of the Father (1974), a symbolic stage of imagined revenge against a domineering father figure; the bronze sculpture Janus Fleuri (1968), which merges male and female forms; Red Room (Parents) (1994), one of the most significant works from her Cells series that began in the 1990s; Cell (Black Days), a powerful condensation of melancholy and sexual tension; and her late fabric works, spanning over seven decades of artistic practice.

The exhibition also showcases Bourgeois’s diaries, personal writings throughout her life, and psychoanalytic notes, illuminating the deep connections between her inner psyche and art. It further presents a projection by conceptual artist Jenny Holzer, who reinterprets excerpts from Bourgeois’s texts, thereby deepening viewers’ experience of the exhibition. The exhibition runs through January 4, 2026.
루이즈 부르주아의 대규모 회고전 《루이즈 부르주아: 덧없고 영원한》, 호암미술관에서 개최
20세기 현대미술의 거장 루이즈 부르주아(1911–2010)의 개인전 《루이즈 부르주아: 덧없고 영원한》이 용인 호암미술관에서 열린다. 이는 한국에서 25년만에 열리는 전시이자 작가의 국내 최대 규모 미술관 회고전으로 회화, 조각, 설치 등 총 106 점의 작품을 폭넓게 아우른다.

전시명 《덧없고 영원한》은 평생 기억, 신체, 시간에 대해 탐구해온 부르주아가 생전에 쓴 글에서 차용했다. 사랑, 두려움, 버려짐 등 가족 내 긴장과 갈등, 그리고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내면의 균열은 작가의 생애 전 작업을 관통한 핵심 주제였다. 전시는 이러한 작가의 심리 지형도를 오롯이 반영한다. 나아가 ‘사라지는 것과 영원한 것’이라는 양극의 개념을 통해 남성과 여성, 과거와 현재, 무의식과 현실 사이의 경계에서 끊임없이 흔들리는 정체성과 감정을 포착한다.

1940년대 초기 회화와 〈인물(Personages)〉 연작, 가부장적 아버지에 대한 상상적 복수를 무대로 연출한 설치작 〈아버지의 파괴(The Destruction of the Father)〉(1974), 남성과 여성의 형상을 결합한 청동 조각 〈개화하는 야누스(Janus Fleuri)〉(1968), 1990년대에 시작된 〈밀실〉 연작 가운데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꼽히는 〈붉은 방(부모) (Red Room (Parents))〉(1994), 우울과 성적 긴장을 응축한 〈밀실(검은 날들) (Cell (Black Days))〉, 그리고 말년의 패브릭 작업에 이르기까지 전시는 70여 년에 달하는 작가의 예술적 궤적을 한 눈에 집약한다.

이번 전시는 부르주아의 주요 작품들은 물론 일기와 생애 전반에 걸친 글쓰기, 그리고 정신분석 기록을 함께 배치하여 그의 내면 세계와 작품 사이의 연결 고리를 제공한다. 또한 개념미술 작가 제니 홀저(Jenny Holzer)가 부르주아의 텍스트를 발췌하여 제작한 프로젝션 작업을 병치하여 관람객의 전시 경험을 더욱 확장한다. 전시는 2026년 1월 4일까지 이어진다.

[Source: Louise Bourgeois: The Evanescent and the Eternal press release, provided by the Hoam Museum of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