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July 2025
Jean-Michel Othoniel, Julian Opie, and Korakrit Arunanondchai Participate in Ditto and Veto at Heredium, Daejeon, Korea
Artists: 장-미셸 오토니엘(Jean-Michel Othoniel), 줄리안 오피(Julian Opie), 코라크릿 아룬나논차이(Korakrit Arunanondchai)
Exhibition Dates: March 15 – August 17, 2025
Exhibition Venue: 대전 헤레디움(HEREDIUM, Daejeon, Korea)
Website: https://heredium.art/exhibition/24
Exhibition Dates: March 15 – August 17, 2025
Exhibition Venue: 대전 헤레디움(HEREDIUM, Daejeon, Korea)
Website: https://heredium.art/exhibition/24
Jean-Michel Othoniel, Julian Opie, and Korakrit Arunanonchai participate in Ditto and Veto, a special exhibition on view at a multi-cultural art space HEREDIUM in Daejeon, Korea. Featuring 27 works by 19 contemporary artists, the exhibition highlights timely issues and sheds light on themes closely tied to social dilemmas through a range of media, including painting, sculpture, and installation.
The exhibition title Ditto and Veto combines two words: “Ditto,” meaning “the same,” and “Veto,” Latin for “to forbid.” These two seemingly opposing terms suggest a complex view that goes beyond binary divisions within the structures of approval and disapproval in contemporary society. Creating a space where diverse values can coexist, the exhibition is organized around five themes: ‘Modern Society and Human Alienation,’ ‘The Intersection of History and Identity,’ ‘Direct Speech on Socio-Political Issues,’ ‘Personal Experience and Social Prejudice,’ and ‘Subculture and Popular Culture.’
Among the exhibited works, Jean-Michel Othoniel’s Gold Lotus (2021), a stainless-steel bead sculpture cast in gold leaf, evokes empathy and recovery from discrimination and marginalization, like a lotus blooming from the mud. As an extension, Julian Opie’s two LED works from the Old Street Couple series align with the theme of alien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evoking the emotions and stories of contemporary city dwellers through their continuous walking motions. Korakrit Arunanonchai presents Untitled (History Painting) (2021), a painting on denim scorched in flame in the process. The resulting work comprises the remnants of the burnt painting, ash, and photographs documenting the fire, revealing reflections on human history, memory, and Western-centric globalization and labor.
Setting a platform for dialogue and reflection through artworks that explore a wide range of theme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human rights, and culture, the exhibition runs through August 17, 2025.
The exhibition title Ditto and Veto combines two words: “Ditto,” meaning “the same,” and “Veto,” Latin for “to forbid.” These two seemingly opposing terms suggest a complex view that goes beyond binary divisions within the structures of approval and disapproval in contemporary society. Creating a space where diverse values can coexist, the exhibition is organized around five themes: ‘Modern Society and Human Alienation,’ ‘The Intersection of History and Identity,’ ‘Direct Speech on Socio-Political Issues,’ ‘Personal Experience and Social Prejudice,’ and ‘Subculture and Popular Culture.’
Among the exhibited works, Jean-Michel Othoniel’s Gold Lotus (2021), a stainless-steel bead sculpture cast in gold leaf, evokes empathy and recovery from discrimination and marginalization, like a lotus blooming from the mud. As an extension, Julian Opie’s two LED works from the Old Street Couple series align with the theme of alien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evoking the emotions and stories of contemporary city dwellers through their continuous walking motions. Korakrit Arunanonchai presents Untitled (History Painting) (2021), a painting on denim scorched in flame in the process. The resulting work comprises the remnants of the burnt painting, ash, and photographs documenting the fire, revealing reflections on human history, memory, and Western-centric globalization and labor.
Setting a platform for dialogue and reflection through artworks that explore a wide range of theme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human rights, and culture, the exhibition runs through August 17, 2025.
장-미셸 오토니엘, 줄리안 오피, 코라크릿 아룬나논차이, 대전 복합문화예술공간 헤레디움의 특별전 《Ditto and Veto》 참여
장-미셸 오토니엘, 줄리안 오피, 코라크릿 아룬나논차이가 대전 복합문화예술공간 헤레디움에서 열리는 특별전 《디토와 비토(Ditto and Veto)》에 참여한다. 현대 미술가 19인의 작품 27점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회화와 조각,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시의성 있는 문제에 주목하고 사회적 딜레마와 맞닿은 주제들을 조명한다.
전시 제목인 ‘디토와 비토’는 ‘같다’는 의미의 ‘Ditto(디토)’와 ‘금지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Veto(비토)’를 결합한 것이다. 겉보기엔 대립하는 두 단어는 현대 사회 속 찬성과 반대의 구조 안에서 이분법적 구분을 넘어서는 복합적인 시선을 제시한다. 전시는 ‘현대 사회와 인간 소외,’ ‘역사와 정체성의 교차점,’ ‘사회·정치적 쟁점에 대한 직접적 발언,’ ‘개인의 경험과 사회적 편견,’ 그리고 ‘서브컬처와 대중문화’라는 다섯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다채로운 가치가 공존하는 공간을 꾸린다.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장-미셸 오토니엘의 〈황금 연꽃(Gold Lotus)〉(2021)는 스테인리스 구슬 위에 금박을 입힌 조각으로, 진흙 속에서 자라는 연꽃처럼 차별과 소외 속에서 피어나는 치유와 공감을 이끌어낸다. 줄리안 오피의 LED 작품 〈Old Street Couple〉 연작 두 점은 첫 번째 주제와 맞닿아 있으며, 인물들이 반복적으로 걷는 움직임은 도시 속 현대인의 감정과 이야기를 환기시킨다. 코라크릿 아룬나논차이의 〈Untitled (History Painting)〉(2021)은 데님을 활용한 회화에 불을 붙이고, 불탄 회화의 파편과 재, 그리고 불타는 과정을 기록한 사진을 통해 인간의 역사와 기억, 나아가 서구 중심의 세계화와 노동의 역사에 대한 성찰을 담아낸다.
정치, 경제, 인권, 문화 등 다양한 논제를 예술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대화와 성찰의 장을 마련하는 이번 전시는 8월 17일까지 이어진다.
[Source: Ditto and Veto press release, provided by Heredium]
전시 제목인 ‘디토와 비토’는 ‘같다’는 의미의 ‘Ditto(디토)’와 ‘금지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Veto(비토)’를 결합한 것이다. 겉보기엔 대립하는 두 단어는 현대 사회 속 찬성과 반대의 구조 안에서 이분법적 구분을 넘어서는 복합적인 시선을 제시한다. 전시는 ‘현대 사회와 인간 소외,’ ‘역사와 정체성의 교차점,’ ‘사회·정치적 쟁점에 대한 직접적 발언,’ ‘개인의 경험과 사회적 편견,’ 그리고 ‘서브컬처와 대중문화’라는 다섯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다채로운 가치가 공존하는 공간을 꾸린다.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장-미셸 오토니엘의 〈황금 연꽃(Gold Lotus)〉(2021)는 스테인리스 구슬 위에 금박을 입힌 조각으로, 진흙 속에서 자라는 연꽃처럼 차별과 소외 속에서 피어나는 치유와 공감을 이끌어낸다. 줄리안 오피의 LED 작품 〈Old Street Couple〉 연작 두 점은 첫 번째 주제와 맞닿아 있으며, 인물들이 반복적으로 걷는 움직임은 도시 속 현대인의 감정과 이야기를 환기시킨다. 코라크릿 아룬나논차이의 〈Untitled (History Painting)〉(2021)은 데님을 활용한 회화에 불을 붙이고, 불탄 회화의 파편과 재, 그리고 불타는 과정을 기록한 사진을 통해 인간의 역사와 기억, 나아가 서구 중심의 세계화와 노동의 역사에 대한 성찰을 담아낸다.
정치, 경제, 인권, 문화 등 다양한 논제를 예술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대화와 성찰의 장을 마련하는 이번 전시는 8월 17일까지 이어진다.
[Source: Ditto and Veto press release, provided by Heredium]
01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