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
/upload/exhibitions/1181bc78a09f914b7aa8fc370b312601.jpg
Haegue Yang - Latent Dwelling

Seoul   Hanok

Haegue Yang Latent Dwelling

August 30 – October 8, 2023

Introduction

Kukje Gallery is pleased to announce Haegue Yang’s presentation Latent Dwelling, on view from August 30 to October 8, 2023. Greeting visitors at the gallery’s Hanok, a traditional Korean house, the presentation actively engages with its current “latent” state, a transitional stage frozen before its renovation into a full-fledged exhibition space.

In August 2006, Yang presented Sadong 30, her first solo exhibition in Korea, in a private residence. The place was, in fact, an abandoned house in Sa-dong, a neighborhood next to the western coastal pier of Incheon, a satellite city of Seoul. Sadong 30 continues to be a topic of conversation among art professionals.
The artist herself encapsulates the fundamental preparations that had to be undertaken for Sadong 30, a showcase of works that were scarcely considered conforming to the body of works, into two primary actions: "cleaning" and "connecting electricity." The house, uninhabited for years, was brimming with waist-high trash from the neighborhood and had lost access to electricity and water for a long while. As the issues were being resolved, the artist started to bring in devices emblematic of the “ghostly” life into the space.

Mundane items, such as broken mirror pieces, light fixtures, IV stands, wall clocks, origami objects, and fluorescent paint, made their appearance. Although there was no laundry to be washed, a cloth-wrapped drying rack found its place in the master bedroom, and a vintage ventilator placed in front of a stroboscope appeared to slowly rotate. In place of storage vessels, a lookout station was constructed, where visitors could rest and also freely take a bottle of water from a cooler to drink or to sprinkle on the garden balsams and chrysanthemums planted in an unused old-fashioned outdoor wash basin without running water.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Sadong 30, the drying racks and IV stands later became Yang’s signature materiality representing her oeuvre; however, such display of non-traditional art materials and unfamiliar objects throughout the space was not only unconventional, but completely alienating. It was the feeble old house that brought all these disparate elements together.
In contrast to the loose composition of fragmented elements in Sadong 30, Latent Dwelling presents a defined body of work in a relatively set environment. Nevertheless, the reliance on daylight or handheld flashlights at night instead of proper ceiling lights is somewhat reminiscent of the condition of Sadong 30. This sense of place, coupled with the inherent temporality of the under-construction Hanok, establishes an impression of an eternal transitional status intertwined with the ever-accumulating layers of time.

Yang’s methodology for this presentation revolves around the sensation of latent energy during hibernation. Upon entering the presentation, the first sensory experience is the herbal scent of Chinese medicine and the flickering lights of electric candles dispersed throughout the space. In one corner of the Hanok, sculptures are simply lying on the floor, while in another corner, sculptures occupy the space as storage jars or straw sacks used in a granary. The works, densely displayed in the modestly scaled interior of the Hanok, vary in their series as well as their years of production.

Turning right past Totem Robots (2010), a work from Yang’s light sculpture series showcased behind the glass front, visitors encounter The Intermediate – Five-Legged Frosty Fecund Imoogi (2020), a work from The Intermediates (2015–) series, primarily interwoven with artificial straw. With the head of this lifelike creature lifted above the ground, it remains uncertain whether the positioning suggests its recent ascent from or descent to the floor. One arm extends over a distant crossbeam, while bell seedpods drape beneath its tentacles. Moving past this enigmatic being, which evokes an image of the legendary Imoogi on the cusp of becoming a dragon, visitors are introduced to one of the artist’s most recent works, Sonic Planet Pockets – Iridescent Botanic Map (2023). This captivating creature, reminiscent of a colossal beehive or fruit, comprises a body covered with iridescent bells and pockets containing artificial plants symbolizing various regions such as the ocean floor, desert, and tropics, integrating the artificial and the natural at once. Moving past the wall-mounted reflective black sculpture Obscure Rotating Reflective Running Black Cube-Handle Faucets – Scaly Squircles #17 (2023), visitors enter a relatively dark, compact rear space filled with large sculptural pieces from the The Intermediates series. Among them are Sonic Rotating Whatever Running on Hemisphere #22 (2022), a recent work that features a hemisphere covered with metal bells and faucets, and sculptures from the ongoing Sonic Clotheshorse – Dressage series (2020–), which explores all possible configurations that can be formed by wrapping a drying rack with bells. The richly populated space emanates an atmosphere that seems to store time itself. Continuing, the audience's gaze passes through the window located on one side of the space and encounters The Intermediate – Seven-Legged Carbonous Male Imoogi (2023), wrapped around trees in the Hanok’s backyard.

On the other side of the entrance is a relatively well-organized space, previously used as a showroom. In addition to sculptures, the space features monoprints that the artist has been creating for over a decade; works from her Lacquer Paintings (1994–) series that capture impressions of the environment—raindrops, dust, pollen, and insects—that have accidentally settled on top of the intended composition; and the Carsick Drawing (2006–) series that abstractly and non-literally record the terrain and movement of bumpy roads that the artist vividly perceived while traveling by car in the border region between China and Vietnam. Alongside these works are the sculpture Biped Chalky of Innate Black (2015), which demonstrates the artist’s long-standing interest in folklore and handicrafts, and Mesmerizing Two-Leaf Folding Screen – Glossolalia-Powered Spring-Summer Flagbearers #3 (2022), a wooden folding screen that draws its essence from the Mesmerizing Mesh (2021–) series inspired by sacred paper objects employed in shamanistic rituals.
Hanging under the eaves of the Hanok's courtyard are three pieces from the Mesmerizing Mesh series, inspired by the shamanic tradition of Sacred Paper Cutting, which involves folding and cutting paper to create sacred paper objects. Also draping down from the rafters beneath the eaves is Sonic Rope (2023), an installation inspired by the Korean folktale Sister Sun and Brother Moon and taking the form of a rope that symbolizes an escape from the hardships of reality.


Instead of envisioning the Hanok solely as a neatly organized, neutral setting for displaying artworks, Yang aims to transform the given space into a context where artworks, distributed throughout, possess their own distinctive sense of time and space. Additionally, Yang hopes that Latent Dwelling will present an opportunity for her works to greet visitors in a more “natural state,” reminiscent of how sceneries look during the offseason or how actors appear offstage.

* Latent Dwelling will remain open until 8 pm during Frieze Week (September 4–9, 2023) and until midnight on Thursday, September 7, 2023, in celebration of Samcheong Night.


About the Artist

Born in 1971 in Seoul, South Korea, Haegue Yang currently lives and works between Berlin and Seoul.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tists of her generation, Yang is a prolific artist who consistently experiments with her artistic language and maintains a steady stream of exhibitions worldwide. Yang moved to Germany in 1994 to study at the renowned art school Städelschule, where she received a Meisterschüler. She is currently Professor of Fine Art at her alma mater. In 2018, she received the prestigious Wolfgang Hahn Prize as well as the Republic of Korea Culture and Arts Award (Presidential Citation) in the visual arts category in October of the same year. In 2022, she won the 13th Benesse Prize, presented by Benesse Holdings Inc. in collaboration with the Singapore Art Museum (SAM), leading to her forthcoming project in Naoshima, Japan, slated for June 2024.
Yang has held solo exhibitions in numerous museums across the globe, including Pinacoteca Contemporânea, São Paulo (2023); Statens Museum for Kunst, Copenhagen (2022); Tate St Ives, Saint Ives (2020); Museum of Modern Art (MoMA), New York City (2019); Bass Museum of Art, Miami Beach (2019); Museum Ludwig, Cologne (2018); Centre Pompidou, Paris (2016); Ullens Center for Contemporary Art, Beijing (2015); Leeum Museum of Art, Seoul (2015); Haus der Kunst, Munich (2012); Aspen Art Museum, Aspen (2011); and Walker Art Center, Minneapolis (2009). Yang participated in Kassel Documenta 13 (2012) and represented Korea at the 53rd Venice Biennale (2009). In October 2024, Yang will stage a major survey show at the Hayward Gallery, London, UK, which will then travel across Europe.
국제갤러리는 오는 8월 30일부터 10월 8일까지 양혜규 작가의 프레젠테이션 《동면 한옥》을 진행한다. 국제갤러리 한옥 공간에서 선보이는 이번 프레젠테이션은 본격적인 전시장으로서의 출발을 맞이하기 전 유보적 휴면 상태에 있는 본 공간의 상태를 적극 반영한다.

지난 2006년 8월, 양혜규는 인천의 한 민가에서 국내에서의 첫 개인전 《사동 30번지》를 선보였다. 인천이라는 서울의 위성도시, 그 중에서도 서해 연안 부두에 인접한 사동의 한 폐가에서 열린 이 전시는 여전히 다수의 미술인에 의해 기억되고 회자된다.
당시 작품이라 하기에는 미미한 요소들이 곳곳에 설치된 이 《사동 30번지》 전시를 위해 거쳐야 했던 기초적인 준비를, 작가는 스스로 두 가지로 정리한다. ‘청소한다’는 행위와 ‘전기를 연결한다’는 행위다. 수년 동안 사람이 살지 않았던 이곳은 주변에서 내다 버린 쓰레기로 가득 차 있었고, 전기와 수도는 끊긴 지 오래였다. 청소와 전기 문제가 해결된 후, 작가는 드디어 ‘유령 같은’ 삶을 상징하는 장치들을 삽입하기 시작했다. 깨진 거울, 조명기기, 벽걸이 시계, 종이접기로 만든 오브제, 형광 안료 등의 미미한 장치가 등장했다. 빨래가 없음에도 천으로 덮인 건조대가 펼쳐져 안방에 자리했고, 스트로보스코프 앞에 놓인 구형 선풍기는 슬로모션처럼 느리게 회전했으며, 장독대가 있던 자리에는 전망대가 들어섰다. 관객은 전망대에 놓인 아이스박스에 든 생수를 직접 마시거나, 이를 이용해 수도가 연결되지 않은 야외 수도가에 심어진 봉숭아와 국화에 물을 줄 수도 있었다. 이 전시에 처음 등장한 빨래 건조대와 링겔대는 이후 양혜규 작가의 조각을 표상하는 대표적인 오브제로 자리 잡았지만, 당시에는 비미술적인 재료와 낯선 오브제 여럿이 집 곳곳에 생소하다 못해 매우 낯선 환경을 조성하는 형국이었다. 그리고 이 이질적인 요소들을 모두 아우른 건 오랜 세월에 취약해진 낡은 가옥이었다.

이렇듯 확립되지 않은 여러 요소가 성긴 구성을 이루었던 《사동 30번지》에 비해 《동면 한옥》은 상대적으로 정립된 환경 속 보다 어엿한 작품의 형태를 갖춘 작업을 선보인다. 하지만 천장 조명을 마다하고, 야간에도 손전등을 의존하는 전시의 연출 방식은 어딘가 모르게 《사동 30번지》를 연상시킨다. 이와 같은 장소성은 물론, 시공 중인 한옥이라는 이 장소가 지닌 고유한 시간성은 켜켜이 쌓인 시간들과 더불어 과도기적 연상을 자아낸다.

이번 프레젠테이션에서 작가는 제목의 '동면'이 주는 느낌을 전시 연출의 주된 방법론으로 채택한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관객을 가장 먼저 자극하는 것은 여러 한약재 냄새와 점점이 흩어져 있는 전기 양초들이다. 한옥의 어느 구석에는 조각이 방치된 듯 바닥에 늘어져 있고, 또 다른 구석에는 저장용 항아리나 가마니처럼 조각 작업들이 가득 들어차 있다. 비교적 협소한 한옥 공간 내부에 높은 밀도로 전시된 작품들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제작 시기도 모두 상이하다.

전면 유리로 된 전시 입구에서 관람객을 가장 먼저 맞이하는 광원 조각 〈토템 로봇〉(2010)을 지나 오른쪽으로 돌면 인조 짚을 주재료로 직조한 〈중간 유형〉 연작(2015-)의 하나인 〈중간 유형 – 서리 맞은 다산의 오발 이무기〉(2020)와 만난다. 생명체의 머리가 바닥에서 들린 형국의 이 작품은 이제 막 상승하려는 건지, 아님 막 내려앉은 듯한 모습인지 알 수 없다. 한 팔은 먼 대들보 위에 걸쳐져 있고, 몸통 밑으로는 방울 촉수가 드리운다. 바닥 공간을 가득 메우고 있는, 아직 용이 되지 못한 전설 속 이무기를 연상시키는 이 신비한 생물체를 지나면 작가의 신작 중에서도 가장 최근에 제작된 〈소리나는 행성 주머니 – 홍예 식물 지도〉(2023)를 마주하게 된다. 거대한 벌집이나 열매를 연상시키는 이 매혹적인 생명체는 무지개빛 방울을 가득 단 몸체에 해저, 사막, 열대 등의 지역을 테마화하는 인조 식물을 담은 주머니로 구성되어 인공물과 자연을 동시에 아우른다.
벽에 설치된 흑경 조각 〈칠흑같이 회전하고 반사하며 흐르는 검은 큐브형 수도꼭지 – 비늘 굴린 정사각형 #17〉(2023)을 지나면, 〈중간 유형〉 연작 중에서도 덩치 큰 조각들이 꽉 들어찬, 상대적으로 침침한 뒤편의 공간을 맞이한다. 금속 방울로 덮인 회전 가능한 반구에 수도꼭지 손잡이를 부착한 근작 〈소리 나는 돌림 무엇이든 흐름 반구 #22〉(2022)와 빨래 건조대를 뼈대 삼아 방울로 감싸고, 표현할 수 있는 형태의 모든 경우의 수를 도출하고자 진행 중인 연작 〈소리 나는 접이식 건조대 – 마장 마술〉(2020) 등 다채로운 작품으로 그득한 이 공간은 빈틈없이 채워졌으나 어딘가 모르게 시간마저 저장된 듯한 그윽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어 관객의 시선은 그 공간 한편에 위치한 창문을 통해 한옥 뒤뜰에 나무를 감싸고 있는 〈중간 유형 – 탄소 맞은 수컷 칠발 이무기〉(2023)와 마주친다

입구에서 반대쪽으로 걸어 들어가면 기존에 전시장으로 사용되었기에 비교적 잘 정돈된 공간을 맞이한다. 이곳에는 조각 외에도 작가가 근 10여 년 동안 꾸준히 제작해온 모노프린트를 이용한 판화 작업과 함께 의도적인 구성 외에도 우연히 표면에 앉은 빗방울, 먼지, 꽃가루, 벌레 등의 환경적 요소를 포함하는 〈래커 회화〉 연작, 그리고 중국과 베트남의 국경지역의 여행 중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생생히 감각한 울퉁불퉁한 길의 지형과 이동의 과정을 추상적, 비문자적으로 기록한 〈멀미 드로잉〉 연작 등이 소개된다. 이와 함께 민속성과 수공예에 대한 작가의 오랜 관심을 보여주는 조각 〈검정 속내 두발 희부연이〉(2015)와 무속 전통에서 사용되는 종이 무구들에 영감 받은 〈황홀망〉 연작을 접이식 목재 병풍으로 제작한 〈황홀두폭병恍惚二幅屛 – 방언 충천 춘하春夏 기수도 #3〉(2022)가 나란히 선보인다.
중정의 처마 곳곳에는 종이를 접어 오린 후 다시 펼쳐 종이 무구를 만드는 무속 전통인 ‘설위설경設位設經’에 영감 받은 황홀망 오브제 3점이 소개되며, 처마 밑 서까래에는 하늘에서 내려온 동아줄을 타고 지상에서의 위기 상황을 모면하는 남매를 그린 한국의 전통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로부터 영감 받은 설치작 〈소리나는 동아줄〉(2023)이 걸려있다.

양혜규 작가는 전시장의 건축 혹은 위치성이 비단 깔끔하게 정리되어 작업을 진열할 수 있는 중성적인 장소 이상, 즉 곳곳에 배치되는 작품을 통해 고유한 장소성과 시간성을 품을 수 있는 여지를 희망한다. 또한 《동면 한옥》을 구성하고 있는 작품들이 비수기의 풍경이나 무대를 벗어난 배우처럼 보다 자연스러운 상태로 관람객을 마주하기를 바란다.

*《동면 한옥》은 서울 '프리즈 위크' 기간(9월 4일-9일)에 한해 개관 시간을 밤 8시까지 연장한다. 또한 9월 7일(목)에는 ‘삼청 나이트’를 기념하여 밤 12시까지 관람이 가능하다.

작가 소개
양혜규는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나 현재 베를린과 서울을 오가며 작업하고 있다. 다작과 왕성한 전시활동뿐 아니라 거침없는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활동으로 동시대 작가들 중 단연 돋보이는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1994년 독일로 이주하여 프랑크푸르트 국립미술학교 슈테델슐레Städelschule에서 마이스터슐러 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모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8년 볼프강 한 미술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 10월 문화체육관광부가 수여하는 대한민국문화예술상(대통령 표창) 미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2022년 일본 베네세 재단이 싱가포르 비엔날레와 함께 공동 주최하는 제13회 베네세 상을 수상하여, 현재 나오시마에서 2024년 6월 공개될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다.
브라질 상파울루 피나코테카 미술관(2023), 코펜하겐 국립미술관(2022), 영국 테이트 세인트아이브스(2020), 뉴욕 현대미술관(2019), 마이애미 비치 더 바스(2019), 쾰른 루트비히 미술관(2018), 파리 퐁피두 센터(2016), 베이징 울렌스 현대미술센터(2015), 리움미술관(2015), 뮌헨 하우스 데어 쿤스트(2012), 미국 아스펜 미술관(2011), 미니애폴리스 워커아트센터(2009) 등 전 세계 유수의 기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으며, 카셀 도큐멘타 13(2012), 제53회 베니스 비엔날레(2009) 한국관 대표로 참여했다. 2024년 10월에는 영국 런던 헤이워드 갤러리에서 양혜규 작가의 작품세계를 조망하는 회고전이 개최 예정이며, 이는 유럽 순회로 이어질 계획이다.

Installation Views

Publications

Shop now
Haegue Yang: Latent Dwelling